[혹시 그거 알아? 😲]
한국이 최초로 올림픽에서 콘돔을 나눠줬대!
2024 파리올림픽에서 무려 남성용 콘돔 20만 개, 여성용 콘돔 2만 개, 덴탈 댐(구강 보호 기구) 1만 개가 배포됐어. 선수 한 명이 올림픽 기간동안 하루에 2개씩 쓸 수 있는 양이래. 매번 올림픽이 열릴 때마다 “선수촌에 콘돔이 몇만 개 배포됐다”는 기사 한번쯤 본 적 있지? 근데 그거 알아? 😲 그 시작이 바로 한국이야. 🇰🇷
1988 서울올림픽에서 올림픽 사상 처음으로 선수들에게 콘돔을 나눠줬어. 총 8,500개 콘돔을 배포했어. 선수 한 명당 한 개 콘돔을 받을 수 있는 양이야. 성에 대해 보수적인 분위기의 한국에서 콘돔을 나눠줬다니? 👀 신기하지? 그 배경엔 후천성면역결핍증(AIDS) 확산 우려가 있었어. 예방 차원에서 콘돔을 나눠주게 된거야. 이후 1990년대 에이즈가 세계적인 이슈로 떠오르면서 올림픽에서 나눠주는 콘돔의 양이 껑-충 늘어나게 돼.
2022 시드니올림픽에선 원래 7만 개의 콘돔을 준비했지만, 콘돔이 모자라서 2만 개 콘돔을 추가로 준비하기도 했어. 가장 많은 콘돔을 배포한 건 2016 리우올림픽이야. 45만 개 콘돔을 준비했대. 이때 처음으로 올림픽에서 여성용 콘돔을 나눠주기도 했어. 당시 남미에선 지카바이러스가 유행했어. 지카바이러스는 성관계로 전염될 수 있어서 선수들의 안전한 성관계를 위해 이렇게 많은 콘돔을 배포했어. 심지어 코로나19로 선수촌에서 콘돔 사용하지 말라고 했던 2020 도쿄올림픽에서도 에이즈에 대한 경각심을 높이기 위해 16만 개 콘돔을 배포했었어.
올림픽에서도 성병 예방을 위해 이렇게 많은 콘돔을 나눠주잖아. 콘돔은 성병을 예방할 수 있는 유일한 도구야. 그러니까 안전한 성생활을 위해 콘돔을 꼭 사용하자!
📌 역대 올림픽 콘돔 배포량
하계/동계 | 올림픽 | 남성용 콘돔 | 여성용 콘돔 | 덴탈 댐 |
---|---|---|---|---|
하계 | 1988 서울 | 8,500 | ||
동계 | 1992 알베르빌 | 30,000 | ||
하계 | 1992 바르셀로나 | 90,000 | ||
동계 | 1994 릴레함메르 | 40,000 | ||
하계 | 1996 애틀란타 | 15,000 | ||
동계 | 1998 나가노 | 36,000 | ||
하계 | 2000 시드니 | 90,000 | ||
동계 | 2002 솔트레이크 | 100,000 | ||
하계 | 2004 아테네 | 130,000 | ||
동계 | 2006 토리노 | 자료 없음 | ||
하계 | 2008 베이징 | 100,000 | ||
동계 | 2010 벤쿠버 | 100,000 | ||
하계 | 2012 런던 | 150,000 | ||
동계 | 2014 소치 | 100,0000 | ||
하계 | 2016 리우 | 350,000 | 100,000 | |
동계 | 2018 평창 | 110,000 | ||
하계 | 2020 도쿄 | 160,000 | ||
동계 | 2022 베이징 | 콘돔 제공 | ||
하계 | 2024 파리 | 200,000 | 20,000 | 10,000 |